도시공원 중 묘지공원의 경우 적당한 공원 면적의 규모 기준은?
(단, 정숙한 장소로 장래 시가화가 예상되지 아니하는 자연녹지지역에 설치한다.)
1. 100,000㎡
2. 300,000㎡
3. 500,000㎡
4. 700,000㎡
질문이 있으면 댓글을 달아주세요^^
정답 : 1번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 도시에서의 공원녹지의 확충, 관리, 이용 및 도시녹화 등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쾌적한 도시환경을 조성하여 건전하고 문화적인 도시생활을 확보하고 공공의 복리를 증진시키는 데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
제15조 도시공원의 세분 및 규모 : 국가도시공원, 생활권공원, 주제공원으로 구분됨
주제공원 : 생활권공원 외에 다양한 목적으로 설치하는 다음 각 목의 공원
- 종류 : 역사공원, 문화공원, 수변공원, 묘지공원, 체육공원, 도시농업공원, 방재공원
묘지공원 : 묘지 이용자에게 휴식 등을 제공하기 위하여 일정한 구역에 장사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제7호에 따른 묘지와 공원시설을 혼합하여 설치하는 공원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3]
도시공원의 설치 및 규모의 기준
공원구분 | 설치기준 | 유치거리 | 규모 | |
생활권 공원 |
소공원 | 제한없음 | 제한없음 | 제한없음 |
어린이공원 | 제한없음 | 250m 이하 | 1,500㎡ 이상 | |
근린생활권 근린공원 | 제한없음 | 500m 이하 | 10,000㎡ 이상 | |
도보권 근린공원 | 제한없음 | 1,000m 이하 | 30,000㎡ 이상 | |
도시지역권 근린공원 | 해당도시공원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 | 제한없음 | 100,000㎡ 이상 | |
광역권 근린공원 | 해당도시공원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 | 제한없음 | 1,000,000㎡ 이상 | |
주제 공원 |
역사공원 | 제한없음 | 제한없음 | 제한없음 |
문화공원 | 제한없음 | 제한없음 | 제한없음 | |
수변공원 | 하천, 호수 등의 수변과 접하고 있어 친수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곳에 설치 | 제한없음 | 제한없음 | |
묘지공원 | 정숙한 장소로 장래 시가화가 예상되지 아니하는 자연녹지지역에 설치 | 제한없음 | 100,000㎡ 이상 | |
체육공원 | 해당도시공원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 | 제한없음 | 10,000㎡ 이상 | |
도시농업공원 | 제한없음 | 제한없음 | 10,000㎡ 이상 |
반응형
'기출문제 > 조경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3회 조경기사 조경계획 기출문제 35번 (0) | 2022.01.05 |
---|---|
2020년 3회 조경기사 조경계획 기출문제 34번 (0) | 2022.01.05 |
2020년 3회 조경기사 조경계획 기출문제 32번 (0) | 2022.01.05 |
2020년 3회 조경기사 조경계획 기출문제 31번 (0) | 2022.01.05 |
2020년 3회 조경기사 조경계획 기출문제 30번 (0) | 2021.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