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 소프트웨어 패키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❶ 패키징은 개발자 중심으로 진행한다.
② 신규 및 변경 개발소스를 식별하고, 이를 모듈화하여 상용제품으로 패키징한다.
③ 고객의 편의성을 위해 매뉴얼 및 버전관리를 지속적으로 한다.
④ 범용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일반적인 배포 형태로 패키징이 진행된다.
해설 및 분석:
소프트웨어 패키징은 개발된 소프트웨어를 배포할 수 있는 완성된 형태로 만드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소프트웨어를 사용자가 쉽게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단계로, 실제 소프트웨어 제품을 시장에 제공하기 위한 중요한 작업입니다. 각 선택지를 하나씩 분석해보겠습니다.
- ❶ 패키징은 개발자 중심으로 진행한다.
- 소프트웨어 패키징은 개발자만의 작업이 아니며 주로 배포와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여 진행됩니다. 물론, 개발자는 패키징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사용자에게 어떻게 제공할 것인가가 더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패키징 과정에서는 배포 형식, 설치 과정, 매뉴얼 등의 요소들이 고려되므로 개발자 중심으로만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편의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 ② 신규 및 변경 개발소스를 식별하고, 이를 모듈화하여 상용제품으로 패키징한다.
- 소프트웨어 패키징 과정에서는 신규 및 변경된 개발 소스를 식별하여 이를 적절하게 모듈화하고, 상용제품으로 배포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과정이 포함됩니다. 이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패키징 작업 중 필수적인 활동입니다.
- ③ 고객의 편의성을 위해 매뉴얼 및 버전관리를 지속적으로 한다.
- 소프트웨어 패키징 시, 고객이 소프트웨어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매뉴얼과 버전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패키징 이후에도 업데이트와 버전 관리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적절히 유지하고, 매뉴얼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고객이 최신 버전의 제품을 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④ 범용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일반적인 배포 형태로 패키징이 진행된다.
- 소프트웨어 패키징은 가능한 한 범용적인 배포 형태로 제공되어야 합니다. 즉, 여러 운영체제나 환경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패키지를 표준화된 형식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할 수 있도록 설치 파일, 실행 파일 등이 준비되며, 배포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패키징됩니다.
결론:
정답은 **❶ "패키징은 개발자 중심으로 진행한다."**입니다.
소프트웨어 패키징은 개발자만의 작업이 아니라, 사용자 편의성, 배포의 효율성 등을 고려한 포괄적인 과정입니다.
반응형
'기출문제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31번 (0) | 2025.03.05 |
---|---|
2022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30번 (0) | 2025.03.05 |
2022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28번 (0) | 2025.03.05 |
2022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27번 (0) | 2025.03.05 |
2022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26번 (1) | 2025.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