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정보처리기사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32번

엉클지니 2025. 3. 14. 13:40

32. 형상 관리의 개념과 절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형상 식별은 형상 관리 계획을 근거로 형상관리의 대상이 무엇인지 식별하는 과정이다.

형상 관리를 통해 가시성과 추적성을 보장함으로써 소프트웨어의 생산성과 품질을 높일 수 있다.

 형상 통제 과정에서는 형상 목록의 변경 요구를 즉시 수용 및 반영해야 한다.

형상 감사는 형상 관리 계획대로 형상관리가 진행되고 있는지, 형상 항목의 변경이 요구 사항에 맞도록 제대로 이뤄졌는지 등을 살펴보는 활동이다.

 

이 문제는 형상 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의 개념과 절차에 대해 묻고 있습니다. 형상 관리란 소프트웨어 개발과 유지보수 과정에서 소프트웨어의 구성 요소(형상 항목)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일관성을 유지하고, 변경 사항을 추적하며, 품질을 보장하는 활동입니다.

형상 관리의 주요 개념

  1. 형상 식별 (Configuration Identification):
    형상 관리의 첫 단계로, 관리해야 할 대상인 형상 항목(소스 코드, 문서, 실행 파일 등)을 식별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어떤 구성 요소를 관리할 것인지 명확히 정리합니다.
  2. 형상 통제 (Configuration Control):
    형상 항목에 대한 변경을 통제하고 관리하는 과정입니다. 변경 사항은 일정한 절차에 따라 승인을 받아야 하며, 무분별한 변경을 방지합니다.
  3. 형상 감사 (Configuration Audit):
    형상 관리 활동이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형상 항목의 변경이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주기적으로 형상 항목이 잘 관리되고 있는지 점검합니다.
  4. 형상 상태 기록 (Configuration Status Accounting):
    형상 항목의 변경 이력과 상태를 기록하고 추적하는 활동입니다. 이를 통해 항목이 어떤 상태에 있는지 확인하고, 변경 사항을 쉽게 추적할 수 있습니다.

각 선택지 분석

① 형상 식별은 형상 관리 계획을 근거로 형상관리의 대상이 무엇인지 식별하는 과정이다.

  • 형상 식별은 형상 관리의 첫 번째 단계로, 관리 대상이 되는 형상 항목이 무엇인지를 식별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어떤 항목을 관리할 것인지 명확히 정의합니다.
  • 이 설명은 올바른 설명입니다.

② 형상 관리를 통해 가시성과 추적성을 보장함으로써 소프트웨어의 생산성과 품질을 높일 수 있다.

  • 형상 관리는 가시성(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의 상태 및 변경 사항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과 추적성(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의 변경 이력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함)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소프트웨어의 생산성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이 설명도 올바른 설명입니다.

③ 형상 통제 과정에서는 형상 목록의 변경 요구를 즉시 수용 및 반영해야 한다.

  • 형상 통제는 형상 항목의 변경을 즉시 수용하거나 반영하지 않습니다. 변경 사항은 반드시 절차적 검토승인을 거쳐야 합니다. 즉, 변경 요구는 심사와 승인을 통해 반영되며, 즉각적인 반영은 잘못된 방식입니다.
  • 이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④ 형상 감사는 형상 관리 계획대로 형상관리가 진행되고 있는지, 형상 항목의 변경이 요구 사항에 맞도록 제대로 이뤄졌는지 등을 살펴보는 활동이다.

  • 형상 감사는 형상 관리 계획에 따라 형상 항목이 제대로 관리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변경 사항이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지 점검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올바른 설명입니다.

결론

틀린 설명③번입니다. 형상 통제 과정에서는 즉시 수용 및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절차적인 검토와 승인이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