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소스코드 정적 분석(Static Analysi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소스 코드를 실행시키지 않고 분석한다.
② 코드에 있는 오류나 잠재적인 오류를 찾아내기 위한 활동이다.
❸ 하드웨어적인 방법으로만 코드 분석이 가능하다.
④ 자료 흐름이나 논리 흐름을 분석하여 비정상적인 패턴을 찾을 수 있다.
이 문제는 **소스코드 정적 분석(Static Analysi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을 고르는 문제입니다. 정적 분석은 소스 코드를 실행하지 않고 코드를 분석하는 기법으로, 코드의 오류나 잠재적인 문제를 사전에 발견할 수 있게 돕습니다. 각 선택지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소스코드 정적 분석의 주요 특징
- 실행하지 않고 코드만 분석: 소스 코드를 실행하지 않고 코드를 그대로 분석합니다. 이 분석은 컴파일러, 정적 분석 도구, 형상 관리 도구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집니다.
- 오류 및 잠재적 오류 발견: 코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나 버그를 실행 없이 미리 찾아내어 디버깅 및 수정이 가능하도록 돕습니다.
- 자료 흐름 및 논리 흐름 분석: 코드의 자료 흐름(데이터의 이동)이나 논리 흐름을 분석하여 비정상적인 패턴이나 잠재적 오류를 찾아냅니다. 예를 들어, 할당되지 않은 변수 사용, 불필요한 코드, 무한 루프 등을 찾을 수 있습니다.
각 선택지 분석
① 소스 코드를 실행시키지 않고 분석한다.
- 정적 분석은 코드 실행 없이 분석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이 설명은 올바른 설명입니다.
- 결론: 맞는 설명.
② 코드에 있는 오류나 잠재적인 오류를 찾아내기 위한 활동이다.
- 정적 분석은 코드의 오류나 잠재적 오류를 찾아내는 활동으로, 실제로 코드가 실행되지 않아도 버그나 논리적 결함을 사전에 식별할 수 있습니다. 이 설명도 올바른 설명입니다.
- 결론: 맞는 설명.
③ 하드웨어적인 방법으로만 코드 분석이 가능하다.
- 정적 분석은 소프트웨어 도구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분석입니다. 하드웨어적인 방법이 아니라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이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 결론: 틀린 설명.
④ 자료 흐름이나 논리 흐름을 분석하여 비정상적인 패턴을 찾을 수 있다.
- 정적 분석은 코드 내에서 자료 흐름이나 논리 흐름을 분석하여 비정상적인 패턴을 찾아내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미사용 변수, 잘못된 데이터 흐름 등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이 설명은 올바른 설명입니다.
- 결론: 맞는 설명.
결론
따라서 틀린 설명은 ③번입니다. 정적 분석은 하드웨어적인 방법이 아니라, 소프트웨어 도구나 알고리즘을 사용한 분석입니다.
반응형
'기출문제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35번 (0) | 2025.03.14 |
---|---|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34번 (0) | 2025.03.14 |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32번 (0) | 2025.03.14 |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31번 (0) | 2025.03.14 |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30번 (0) | 202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