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 어떤 릴레이션 R에서 X와 Y를 각각 R의 애트리뷰트 집합의 부분 집합이라고 할 경우 애트리뷰트 X의 값 각각에 대해 시간에 관계없이 항상 애트리뷰트 Y의 값이 오직 하나만 연관되어 있을 때 Y는 X에 함수 종속이라고 한다. 이 함수 종속의 표기로 옳은 것은?
① Y → X ② Y ⊂ X
❸ X → Y ④ X ⊂ Y
문제 분석 및 해설
주어진 문제는 함수 종속(Functional Dependency)에 대한 설명을 다루고 있습니다. 함수 종속은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한 애트리뷰트(속성)가 다른 애트리뷰트에 대해 어떻게 의존하는지를 나타냅니다. 문제에서 X와 Y는 R 릴레이션의 애트리뷰트 집합의 부분 집합이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X의 값 각각에 대해 항상 Y의 값이 하나만 연관되어 있다는 조건을 제시했습니다.
함수 종속의 정의
- 함수 종속 X → Y는 X의 값에 대해 Y의 값이 오직 하나만 연관된다는 의미입니다. 즉, X를 알고 있으면 Y의 값을 유일하게 예측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예를 들어, 학생 ID → 학생 이름이라는 함수 종속 관계에서는 학생 ID가 주어지면 그 학생의 이름을 유일하게 알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각 선택지 분석
① Y → X
- 잘못된 표기입니다.
- Y → X는 "Y가 X에 함수 종속"된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X → Y가 되어야 하므로, 이 선택지는 틀린 답입니다. 즉, Y의 값으로 X의 값을 예측할 수 있다는 의미인데, 이는 문제에서 요구한 조건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② Y ⊂ X
- 잘못된 표기입니다.
- Y ⊂ X는 Y가 X의 부분 집합임을 의미합니다. 이는 함수 종속과는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함수 종속은 집합 간의 포함 관계가 아니라, 값 간의 연관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선택지는 틀린 답입니다.
❸ X → Y
- 옳은 표기입니다.
- 문제에서 요구하는 함수 종속은 X의 값 각각에 대해 항상 Y의 값이 오직 하나만 연관되어 있다는 조건입니다. 이것은 바로 X → Y라는 함수 종속으로 표현됩니다. 즉, X가 Y에 함수 종속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선택지는 정답입니다.
④ X ⊂ Y
- 잘못된 표기입니다.
- X ⊂ Y는 X가 Y의 부분 집합임을 의미합니다. 이는 함수 종속과 관련이 없고, 단지 집합 간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함수 종속은 집합 간의 포함 관계와는 다른 개념이므로 이 선택지는 틀린 답입니다.
결론
따라서 정답은 ❸ X → Y입니다. 함수 종속은 X의 값에 대해 Y의 값이 유일하게 연관된 경우에 X → Y로 표기합니다.
반응형
'기출문제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2번 (0) | 2025.03.17 |
---|---|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1번 (0) | 2025.03.17 |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59번 (0) | 2025.03.17 |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58번 (0) | 2025.03.17 |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57번 (0)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