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 파일 디스크립터(File Descripto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파일 관리를 위해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가지고 있다.
②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다가 파일이 개방(open)되면 주기억장치로 이동된다.
❸ 사용자가 파일 디스크립터를 직접 참조할 수 있다.
④ 파일 제어 블록(File Control Block)이라고도 한다.
문제 분석:
파일 디스크립터(File Descriptor)는 운영체제에서 파일을 관리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파일 디스크립터는 파일을 처리하는 데 필요한 정보들을 담고 있으며, 파일을 열 때 해당 파일을 식별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선택지 중에서 틀린 설명을 찾아야 합니다.
각 보기 분석:
- ① 파일 관리를 위해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가지고 있다.
- 맞는 설명입니다.
- 파일 디스크립터는 운영체제에서 파일을 관리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파일의 위치, 상태, 읽기/쓰기 권한 등을 포함합니다.
- ②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다가 파일이 개방(open)되면 주기억장치로 이동된다.
- 맞는 설명입니다.
- 파일 디스크립터는 실제 파일 데이터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파일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담고 있는 구조체입니다. 이 정보는 보조기억장치에서 읽히고, 파일이 열리면 주기억장치로 로드되어 사용됩니다.
- ❸ 사용자가 파일 디스크립터를 직접 참조할 수 있다.
- 틀린 설명입니다.
- 사용자는 파일 디스크립터를 직접 참조할 수 없습니다. 사용자는 파일을 열 때 파일 디스크립터를 리턴받고, 시스템이 파일을 제어하는 동안 파일 디스크립터는 운영체제 내부에서 관리됩니다.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에서 파일 디스크립터를 직접적으로 조작할 수는 없습니다.
- ④ 파일 제어 블록(File Control Block)이라고도 한다.
- 맞는 설명입니다.
- 파일 디스크립터는 종종 **파일 제어 블록(File Control Block, FCB)**이라고 불리며, 파일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자료구조입니다. 이는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을 식별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해설:
- 파일 디스크립터는 운영체제가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담고 있는 자료구조로, 사용자가 파일을 열면 운영체제가 이를 관리하고, 파일에 대한 읽기/쓰기 작업 등을 할 수 있게 해줍니다.
- 파일 디스크립터는 파일을 식별하는 핸들 같은 역할을 하며, 파일 시스템 내부에서만 관리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이를 다룰 수는 없습니다. 운영체제나 파일 시스템이 이를 처리합니다.
- 이와 비슷한 개념으로 **파일 제어 블록(FCB)**이 있는데, 사실 파일 디스크립터는 FCB와 유사한 역할을 하므로 둘이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예시:
- 예를 들어, 파일을 열 때(파일 디스크립터 획득): 사용자가 open() 시스템 호출을 통해 파일을 열면, 운영체제는 파일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파일 디스크립터를 반환합니다. 이 디스크립터는 파일을 추적하고, 읽기/쓰기 작업을 가능하게 합니다.
- 사용자는 파일 디스크립터를 직접 참조할 수 없다는 점에서, 예를 들어 파일을 열었다고 해서 그 파일 디스크립터 번호가 실제로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고, 운영체제가 이를 추상화하여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결론:
틀린 선택지는 ③번입니다. 사용자는 파일 디스크립터를 직접 참조할 수 없습니다. 파일 디스크립터는 운영체제에서 관리되는 정보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를 직접적으로 조작하거나 참조할 수 없습니다.
반응형
'기출문제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82번 (0) | 2025.03.19 |
---|---|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81번 (2) | 2025.03.19 |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9번 (0) | 2025.03.19 |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8번 (0) | 2025.03.19 |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7번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