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정보처리기사

2021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40번

엉클지니 2025. 3. 22. 21:29

40. 다음 중 스택을 이용한 연산과 거리가 먼 것은?

 선택정렬                                                재귀호출

후위표현(Post-fix expression)의 연산   깊이우선탐색

 

 

스택(Stack)은 후입선출(LIFO, Last In First Out)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자료구조입니다. 스택을 이용하는 연산은 주로 후입선출 방식에 적합한 작업들입니다. 이제 각 선택지를 살펴보면서 스택과 관련이 없는 연산을 찾아보겠습니다.


선택정렬 (Selection Sort)

  • 설명: 선택정렬은 주어진 데이터에서 가장 작은 값을 선택해 그 위치를 바꾸는 정렬 알고리즘입니다. 이 알고리즘은 배열을 순차적으로 비교하면서 정렬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스택이나 후입선출 방식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 정확성: 선택정렬은 스택을 이용하지 않으며, 선택정렬은 스택과 관계없는 알고리즘입니다.

재귀호출 (Recursive Call)

  • 설명: 재귀 호출은 함수가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방식입니다. 재귀 호출은 내부적으로 스택을 사용하여 함수의 호출 정보를 저장하고, 함수 실행이 완료되면 스택에서 해당 정보를 제거합니다.
  • 정확성: 재귀 호출은 스택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예로, 함수 호출 시 스택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스택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후위표현(Post-fix expression)의 연산

  • 설명: 후위표현식(Postfix)은 연산자가 피연산자 뒤에 오는 수식입니다. 후위표현식을 계산할 때는 스택을 사용하여 연산을 처리합니다. 피연산자는 스택에 쌓이고, 연산자가 나타나면 스택에서 두 개의 피연산자를 꺼내 계산한 후 결과를 다시 스택에 넣습니다.
  • 정확성: 후위표현식 계산은 스택을 이용하는 연산입니다.

깊이우선탐색 (Depth-First Search, DFS)

  • 설명: 깊이우선탐색(DFS)은 그래프나 트리 구조에서 깊이를 우선적으로 탐색하는 알고리즘입니다. DFS는 탐색을 진행할 때 스택을 사용하여 경로를 추적하고, 노드를 방문한 후 되돌아가며 다른 경로를 탐색합니다.
  • 정확성: 깊이우선탐색(DFS)은 스택을 이용하는 알고리즘입니다.

결론

선택정렬은 스택과 관련이 없는 알고리즘입니다. 따라서 ❶ 선택정렬스택을 이용한 연산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정답은 ❶ 선택정렬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