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자료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❶ 큐는 비선형구조에 해당한다.
② 큐는 First In – First Out 처리를 수행한다.
③ 스택은 Last In – First out 처리를 수행한다.
④ 스택은 서브루틴 호출, 인터럽트 처리, 수식 계산 및 수식 표기법에 응용된다.
문제 분석 및 해설: 자료구조의 종류 🧑💻
문제:
"자료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큐는 비선형구조에 해당한다.
- 큐는 First In – First Out 처리를 수행한다.
- 스택은 Last In – First Out 처리를 수행한다.
- 스택은 서브루틴 호출, 인터럽트 처리, 수식 계산 및 수식 표기법에 응용된다.
문제 해설:
자료구조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법으로, 각 자료구조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 다릅니다. 각 항목을 차례대로 분석해봅시다.
- 큐는 비선형구조에 해당한다:
- 틀린 설명입니다. 큐(Queue)는 **선형구조(Linear Structure)**에 해당합니다. 큐는 데이터를 넣을 때는 뒤쪽으로 넣고, 꺼낼 때는 앞쪽에서 빼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처리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선형구조입니다.
- 큐는 First In – First Out 처리를 수행한다 (FIFO):
- 맞는 설명입니다. 큐는 데이터를 먼저 들어간 것이 먼저 나오는 방식인 FIFO(First In, First Out) 방식입니다. 즉, 첫 번째로 들어간 데이터가 첫 번째로 나옵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이 줄을 서서 하나씩 차례대로 나가는 것과 비슷합니다.
- 스택은 Last In – First Out 처리를 수행한다 (LIFO):
- 맞는 설명입니다. 스택은 후입선출(LIFO, Last In First Out) 방식입니다. 즉, 마지막에 들어간 데이터가 먼저 나옵니다. 예를 들어, 접시를 쌓을 때 맨 위에 놓은 접시부터 꺼내는 방식입니다.
- 스택은 서브루틴 호출, 인터럽트 처리, 수식 계산 및 수식 표기법에 응용된다:
- 맞는 설명입니다. 스택은 서브루틴 호출 시 함수의 반환 주소를 저장하거나, 수식 계산에서 괄호의 짝을 맞추는 데 사용되는 자료구조입니다. 또한, 후위 표기법(postfix notation) 계산 시에도 스택이 활용됩니다.
예시:
- 큐: 은행에서 대기하는 사람들처럼, 먼저 도착한 사람이 먼저 서비스받는 구조입니다.
- 스택: 접시를 쌓아올리면, 가장 마지막에 쌓은 접시부터 꺼내는 방식과 같습니다.
결론:
- 정답은 ❶ 큐는 비선형구조에 해당한다입니다.
- 큐는 선형구조이므로 비선형구조라고 하는 설명은 틀렸습니다.
표로 정리:
번호 설명 설명의 정확성
1 | 큐는 비선형구조에 해당한다 | 틀림 (큐는 선형구조) |
2 | 큐는 First In – First Out 처리를 수행한다 | 맞음 |
3 | 스택은 Last In – First Out 처리를 수행한다 | 맞음 |
4 | 스택은 서브루틴 호출, 인터럽트 처리, 수식 계산 및 수식 표기법에 응용된다 | 맞음 |
이렇게 각 자료구조의 특징을 잘 이해하고 있으면, 시험에서 관련 문제를 쉽게 풀 수 있을 거예요! 😊
반응형
'기출문제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32번 (0) | 2025.03.25 |
---|---|
2021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31번 (0) | 2025.03.25 |
2021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29번 (0) | 2025.03.25 |
2021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28번 (0) | 2025.03.25 |
2021년 1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27번 (1)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