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1 17

2020년 4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20번

20. 바람직한 소프트웨어 설계 지침이 아닌 것은?    ① 적당한 모듈의 크기를 유지한다.    ② 모듈 간의 접속 관계를 분석하여 복잡도와 중복을 줄인다.    ❸ 모듈 간의 결합도는 강할수록 바람직하다.    ④ 모듈 간의 효과적인 제어를 위해 설계에서 계층적 자료 조직이 제시되어야 한다.  문제 분석 및 해설이번 문제는 바람직한 소프트웨어 설계 지침에 대해 묻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설계는 시스템을 구조적으로 잘 만들기 위한 과정이며, 유지보수 용이성, 확장성,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 설계 지침은 시스템의 품질을 높이고, 향후 수정 및 확장이 용이하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됩니다.각 선택지를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① 적당한 모듈의 크기를 유지한다.맞는 설명입니다. 모듈화는..

2020년 4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19번

19. GoF(Gangs of Four) 디자인 패턴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생성 패턴   ② 구조 패턴    ③ 행위 패턴   ❹ 추상 패턴   문제 분석 및 해설이번 문제는 GoF(Gangs of Four) 디자인 패턴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항목을 찾는 문제입니다. GoF 디자인 패턴은 **"Design Patterns: Elements of Reusable Object-Oriented Software"**라는 책에서 Erich Gamma, Richard Helm, Ralph Johnson, John Vlissides의 네 명의 저자가 소개한 23개의 디자인 패턴을 말합니다. 이 패턴들은 크게 세 가지 주요 카테고리로 분류됩니다:생성 패턴 (Creational Patterns)구조 패턴..

2020년 4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18번

18.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웨어러블   ② 하이웨어    ❸ 미들웨어    ④ 응용 소프트웨어   문제 분석 및 해설이번 문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대해 묻고 있습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이 과정을 원활하게 처리하는 소프트웨어 계층이 필요합니다. 이를 **"미들웨어"**라고 부릅니다.각 선택지를 하나씩 분석해 보겠습니다.① 웨어러블웨어러블은 wearable의 한국어 표기이며, 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의미합니다. 이는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헬스케어 기기와 같이 사용자가 착용하는 장치를 나타냅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소프트..

2020년 4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17번

17. 애자일 방법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기능중심 개발               ② 스크럼    ③ 익스트림 프로그래밍     ❹ 모듈중심 개발   문제 분석 및 해설이번 문제는 애자일 방법론에 해당하지 않는 항목을 찾는 문제입니다. 애자일 방법론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유연하고 반복적인 접근을 중시하는 방법론으로, 고객과의 긴밀한 협력, 빠른 피드백, 변경에 대한 유연성 등을 강조합니다. 애자일 방법론에는 다양한 하위 방법론이 있으며, 이들 모두 빠르고 반복적인 개발 주기와 지속적인 개선을 추구합니다.각 선택지를 분석해 보겠습니다.① 기능중심 개발기능중심 개발은 애자일 방법론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애자일 개발에서는 기능 중심으로 개발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고, 각 기능을 작은 단위로 나..

2020년 4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16번

16.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에서 요구 분석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분석 결과의 문서화를 통해 향후 유지보수에 유용하게 활용 할 수 있다.    ❷ 개발 비용이 가장 많이 소요되는 단계이다.    ③ 자료흐름도, 자료 사전 등이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④ 보다 구체적인 명세를 위해 소단위 명세서(Mini-Spec)가 활용될 수 있다.  문제 분석 및 해설이번 문제는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에서 요구 분석 과정에 대한 설명 중 "거리가 먼" 내용을 묻고 있습니다. 요구 분석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첫 번째 단계로, 시스템이 해결해야 할 문제와 그에 대한 요구 사항을 명확히 정의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요구 분석을 통해 개발팀은 사용자와의 소통을 통해 시스템의 기능과 성능 요구사항..

2020년 4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15번

15. 요구 사항 명세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비정형 명세기법은 사용자의 요구를 표현할 때 자연어를 기반으로 서술한다.    ❷ 비정형 명세기법은 사용자의 요구를 표현할 때 Z 비정형 명세기법을 사용한다.    ③ 정형 명세기법은 사용자의 요구를 표현할 때 수학적인 원리와 표기법을 이용한다.    ④ 정형 명세기법은 비정형 명세기법에 비해 표현이 간결하다.   문제 분석 및 해설이번 문제는 "요구 사항 명세 기법"에 대해 묻고 있습니다. 요구 사항 명세는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사용자나 시스템의 요구 사항을 정의하는 중요한 작업입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가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합니다. 요구 사항 명세 기법에는 "정형 명세기법"과 "비정형 명세기법"이 있으며..

2020년 4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14번

14. 소프트웨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개발시스템(User Interface Development System)이 가져야 할 기능이 아닌 것은?    ① 사용자 입력의 검증    ② 에러 처리와 에러 메시지 처리    ③ 도움과 프롬프트(prompt) 제공    ❹ 소스 코드 분석 및 오류 복구  문제 분석 및 해설이번 문제는 "소프트웨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 시스템(User Interface Development System)"에 대해 묻고 있습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 시스템은 사용자가 소프트웨어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먼저, 각 선택지를 하나씩 분석해보겠습니다.① 사용자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