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3 17

2020년 4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0번

60. 데이터웨어하우스의 기본적인 OLAP(on-line analytical processing) 연산이 아닌 것은?    ❶ translate       ② roll-up    ③ dicing           ④ drill-down   이 문제는 데이터웨어하우스와 관련된 OLAP(Online Analytical Processing) 연산에 관한 질문입니다. OLAP 연산은 데이터 분석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여기서 주어진 선택지 중 OLAP 연산이 아닌 것을 고르는 문제입니다.OLAP 연산의 주요 종류Roll-up: 상향 집계 연산입니다. 데이터 계층을 위로 이동하면서 집계 수준을 높이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월별" 데이터를 "연도별"로 집계하는 것이 roll-up입니다.Drill-d..

2020년 4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59번

59. 한 릴레이션 스키마가 4개 속성, 2개 후보키 그리고 그 스키마의 대응 릴레이션 인스턴스가 7개 튜플을 갖는다면 그 릴레이션의 차수(degree)는?    ① 1             ② 2    ❸ 4              ④ 7  이 문제는 **릴레이션의 차수(degree)**에 대한 질문입니다.문제 분석:릴레이션 스키마: 4개 속성을 가진다고 했습니다.후보키: 2개 후보키가 있다고 언급되었습니다.릴레이션 인스턴스: 7개 튜플을 갖는다고 주어졌습니다.차수(degree) 정의:**차수(degree)**는 릴레이션의 속성(attribute)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즉, 하나의 릴레이션에 있는 속성의 개수입니다.해석:주어진 정보에서 릴레이션의 속성 개수는 4개입니다. 따라서 이 릴레이션의 차수는 속..

2020년 4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58번

58.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① 저장 레코드 양식 설계    ② 레코드 집중의 분석 및 설계    ③ 접근 경로 설계    ❹ 목표 DBMS에 맞는 스키마 설계   문제 분석: 이 문제는 데이터베이스 설계 과정 중 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하는 작업에 관한 질문입니다. 데이터베이스 설계는 보통 개념적 설계, 논리적 설계, 물리적 설계 단계로 나누어집니다. 이 중 물리적 설계 단계는 데이터베이스의 저장 및 관리 방안을 구체화하는 단계입니다. 각 선택지에서 물리적 설계와 관련이 없는 작업을 찾으면 됩니다.물리적 설계 단계물리적 설계 단계에서는 데이터를 실제로 저장할 방법을 구체적으로 정의합니다. 주요 작업은 다음과 같습니다:저장 레코드 양식 설계: 데이..

2020년 4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57번

57. A1, A2, A3 3개 속성을 갖는 한 릴레이션에서 A1의 도메인은 3개 값, A2의 도메인은 2개 값, A3의 도메인은 4개 값을 갖는다. 이 릴레이션에 존재할 수 있는 가능한 튜플(Tuple)의 최대 수는?    ❶ 24             ② 12    ③ 8               ④ 9  이 문제는 **릴레이션(Relation)**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묻고 있습니다. 각 속성(attribute)의 도메인(domain)은 해당 속성에서 가질 수 있는 가능한 값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문제에서는 A1, A2, A3라는 세 개의 속성과 그 도메인의 크기가 주어졌습니다.문제 분석A1의 도메인: 3개의 값A2의 도메인: 2개의 값A3의 도메인: 4개의 값릴레이션의 **튜플(tuple)**..

2020년 4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56번

56. 제 3정규형에서 보이스코드 정규형(BCNF)으로 정규화하기 위한 작업은?    ① 원자 값이 아닌 도메인을 분해    ② 부분 함수 종속 제거    ③ 이행 함수 종속 제거    ❹ 결정자가 후보키가 아닌 함수 종속 제거  문제 분석문제: 제 3정규형(3NF)에서 **보이스-코드 정규형(BCNF)**으로 정규화하기 위한 작업은 무엇인가요?정규화(Normalization)정규화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중복을 최소화하고,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테이블을 구조화하는 과정입니다. 3NF와 BCNF는 둘 다 데이터베이스의 정규형 중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데, 둘 사이에는 차이가 있습니다.3NF와 BCNF 차이점제 3정규형(3NF): 모든 비프라이머리 속성(후보키가 아닌 속성)은 기본 키에 대해 이행적..

2020년 4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55번

55. 데이터 모델에 표시해야 할 요소로 거리가 먼 것은?    ① 논리적 데이터 구조     ❷ 출력 구조    ③ 연산                            ④ 제약조건   이 문제는 데이터 모델에 어떤 요소가 포함되어야 하는지, 또는 포함되지 말아야 하는지를 묻는 문제입니다.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의 구조와 관계를 정의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제 각 선택지를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문제 분석문제: 데이터 모델에 표시해야 할 요소로 거리가 먼 것은?논리적 데이터 구조설명: 논리적 데이터 구조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가 어떻게 구성되는지와 관련된 개념입니다. 테이블, 필드, 관계 등이 포함되며, 이는 데이터 모델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정답: 표시해야 할 요소입니다.출력 구조설명: 출력 구..

2020년 4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54번

54. 뷰(VIEW)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뷰 위에 또 다른 뷰를 정의할 수 있다.    ② 뷰에 대한 조작에서 삽입, 갱신, 삭제 연산은 제약이 따른다.    ❸ 뷰의 정의는 기본 테이블과 같이 ALTER문을 이용하여 변경한다.    ④ 뷰가 정의된 기본 테이블이 제거되면 뷰도 자동적으로 제거된다.   ✅ 문제 분석**뷰(VIEW)**에 대한 특징과 사용법을 묻는 문제입니다.뷰는 가상 테이블로,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기존 테이블의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개념 정리번호 설명 참/거짓①뷰 위에 또 다른 뷰를 정의할 수 있다.✅ 맞음. 뷰를 기반으로 또 다른 뷰를 만들 수 있습니다.②뷰에 대한 조작에서 삽입, 갱신, 삭제 연산은 제약이 따른다.✅ 맞음. 뷰는 읽기 전용..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