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기최신기출문제 45

2021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44번

44. SQL에서 VIEW를 삭제할 때 사용하는 명령은?① ERASE       ② KILL❸ DROP          ④ DELETE  SQL에서 VIEW를 삭제할 때 사용하는 명령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① ERASE설명: SQL에서 ERASE는 VIEW나 테이블을 삭제하는 명령어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선택지는 틀립니다.② KILL설명: KILL은 세션을 종료하거나 프로세스를 죽이는 명령어로 사용됩니다. VIEW를 삭제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는 아닙니다. 따라서 이 선택지도 틀립니다.❸ DROP설명: DROP 명령어는 테이블, 뷰, 인덱스 등을 삭제하는 데 사용됩니다. VIEW를 삭제할 때도 DROP VIEW 문을 사용하여 삭제합니다. 예시:DROP VIEW view_name;정확성: 이 설..

2021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31번

31. 다음 자료를 버블 정렬을 이용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할 경우 Pass 2의 결과는?① 3, 5, 6, 7, 9      ② 6, 7, 3, 5, 9③ 3, 5, 9, 6, 7      ❹ 6, 3, 5, 7, 9   버블 정렬(Bubble Sort)은 인접한 두 원소를 비교하여 순서가 잘못되었으면 교환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정렬 알고리즘입니다. 이를 반복하면서 자료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합니다.문제 분석주어진 자료는 9, 6, 7, 5, 3입니다. 이 자료를 버블 정렬을 이용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할 때 Pass 2의 결과를 구하는 문제입니다.버블 정렬의 동작 과정첫 번째 Pass (Pass 1): 자료의 첫 번째부터 마지막까지 한 번 순회하면서 인접한 원소를 비교하고, 필요하다면 교환합니다.두 번째 P..

2021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23번

23. 다음 설명의 소프트웨어 테스트의 기본원칙은?① 살충제 패러독스     ❷ 결함 집중③ 오류 부재의 궤변    ④ 완벽한 테스팅은 불가능 문제 분석주어진 문장은 소프트웨어 테스트의 기본 원칙 중 하나를 설명하고 있습니다."파레토 법칙이 좌우한다."→ 파레토 법칙(80:20 법칙)은 전체 결과의 80%가 원인의 20%에서 발생한다는 원리입니다."애플리케이션 결함의 대부분은 소수의 특정한 모듈에 집중되어 존재한다."→ 대부분의 결함이 특정 부분(모듈)에 집중된다는 의미입니다."결함은 발생한 모듈에서 계속 추가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결함이 많이 발생하는 부분에서 추가 결함이 계속해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입니다.위 설명은 "결함 집중(Defect Clustering)" 원칙을 설명하는 것입니..

2021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22번

22. 다음 중 단위 테스트를 통해 발견할 수 있는 오류가 아닌 것은?① 알고리즘 오류에 따른 원치 않는 결과② 탈출구가 없는 반복문의 사용❸ 모듈 간의 비정상적 상호작용으로 인한 원치 않는 결과④ 틀린 계산 수식에 의한 잘못된 결과 문제 분석: "단위 테스트를 통해 발견할 수 있는 오류가 아닌 것은?"이라는 문제입니다. **단위 테스트(Unit Test)**는 프로그램의 개별적인 모듈이나 함수가 제대로 동작하는지를 검사하는 테스트입니다. 각 모듈이나 함수의 로직을 독립적으로 테스트하여 오류를 찾는 방법입니다. 이 문제는 단위 테스트로 확인할 수 없는 오류를 묻고 있습니다.  각 선택지 분석:① 알고리즘 오류에 따른 원치 않는 결과:알고리즘 오류는 잘못된 알고리즘 로직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단위..

2021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21번

21. 힙 정렬(Heap Sor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① 정렬할 입력 레코드들로 힙을 구성하고 가장 큰 키 값을 갖는 루트 노드를 제거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정렬하는 기법이다.② 평균 수행 시간은 O(nlog2n)이다.③ 완전 이진트리(complete binary tree)로 입력자료의 레코드를 구성한다.❹ 최악의 수행 시간은 O(2n4)이다.  문제 분석: "힙 정렬(Heap Sor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이라는 문제입니다. 힙 정렬은 **완전 이진 트리(Complete Binary Tree)**를 이용한 정렬 알고리즘입니다. 이 문제는 힙 정렬에 대한 여러 가지 설명 중에서 틀린 것을 찾는 문제입니다.  **힙 정렬(Heap Sort)**의 기본 동작:힙 구조: 힙은 이진 트리 구조로,..

2021년 2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7번

7. 요구사항 분석이 어려운 이유가 아닌 것은?① 개발자와 사용자 간의 지식이나 표현의 차이가 커서 상호 이해가 쉽지 않다.❷ 사용자의 요구는 예외가 거의 없어 열거와 구조화가 어렵지 않다.③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모호하고 불명확하다.④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 중에 요구사항이 계속 변할 수 있다.  이 문제는 요구사항 분석이 어려운 이유에 대해 묻고 있습니다. 주어진 선택지 중에서 요구사항 분석이 어려운 이유가 아닌 것을 찾는 문제입니다. 각 선택지를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문제 분석① 개발자와 사용자 간의 지식이나 표현의 차이가 커서 상호 이해가 쉽지 않다.맞습니다.개발자와 사용자는 서로 다른 전문 분야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하는 언어나 용어가 다를 수 있습니다. 개발자는 기술적인 측면에서 접근하는 반면, ..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83번

83. 구글의 구글 브레인 팀이 제작하여 공개한 기계 학습(Machine Leaming)을 위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는?① 타조(Tajo)                     ② 원 세그(One Seg)③ 포스퀘어(Foursquare)  ❹ 텐서플로(TensorFlow) 문제 분석:이 문제는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위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 중에서, 구글의 구글 브레인 팀이 제작하여 공개한 라이브러리를 묻고 있습니다. 주어진 선택지 중에서 구글이 만든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각 보기 분석:① 타조(Tajo)틀린 설명입니다.타조(Tajo)는 아파치 프로젝트로, 대용량 데이터 분석을 위한 분산 데이터 처리 시스템입니다. 기계 학습과 관련된 라이..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82번

82. 정보 시스템 내에서 어떤 주체가 특정 개체에 접근하려 할 때 양쪽의 보안 레이블(Security Label)에 기초하여 높은 보안 수준을 요구하는 정보(객체)가 낮은 보안 수준의 주체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접근 제어 방법은?❶ Mandatory Access Control ② User Access Control③ Discretionary Access Control ④ Data-Label Access Control 문제 분석:문제에서는 **보안 레이블(Security Label)**을 기반으로 한 접근 제어 방법에 대한 설명을 묻고 있습니다. 보안 레이블은 객체(정보나 데이터)에 대한 보안 등급을 부여하고, 주체(사용자나 프로세스)가 해당 정보를 접근할 때 이 레이블을 기반으로 접근을 허용하거나 ..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81번

81. 침입탐지 시스템(IDS : Intrusion Detection System)과 관련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❶ 이상 탐지 기법(Anomaly Detection)은 Signature Base나 Knowledge Base라고도 불리며 이미 발견되고 정립된 공격 패턴을 입력해두었다가 탐지 및 차단한다.② HIDS(Host-Based Intrusion Detection)는 운영체제에 설정된 사용자 계정에 따라 어떤 사용자가 어떤 접근을 시도하고 어떤 작업을 했는지에 대한 기록을 남기고 추적한다.③ NIDS(Network-Based Intrusion Detection System)로는 대표적으로 Snort가 있다.④ 외부 인터넷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위치하는 네트워크인 DMZ(Demilitarized ..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57번

57. SQL의 논리 연산자가 아닌 것은?① AND      ❷ OTHER③ OR        ④ NOT   문제 분석 및 해설SQL에서 논리 연산자는 조건을 결합하거나 조건에 대한 논리적인 연산을 수행할 때 사용됩니다. 논리 연산자는 AND, OR, NOT 등이 있으며, 조건을 조합하여 더 복잡한 쿼리를 작성할 수 있게 합니다. 각 선택지를 하나씩 분석해 보겠습니다.① ANDSQL의 논리 연산자입니다. AND는 두 조건이 모두 참일 때만 참을 반환하는 논리 연산자입니다. 예를 들어, WHERE condition1 AND condition2는 condition1과 condition2가 모두 참일 때만 해당 행을 선택합니다.❷ OTHER논리 연산자가 아닙니다. OTHER는 SQL에서 사용되는 논리 연산자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