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다음 파이썬(Python) 프로그램이 실행되었을 때의 결과는?
① 45 ② 55
❸ 66 ④ 78
🔍 문제 분석
주어진 코드:
def cs(n):
s = 0
for num in range(n+1):
s += num
return s
print(cs(11))
이 코드는 cs(n)이라는 함수를 정의하고, cs(11)을 호출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입니다.
📖 코드 해설
1️⃣ 함수 정의
def cs(n):
- cs(n) 함수는 입력값 n을 받아서 0부터 n까지의 합을 계산하는 함수입니다.
2️⃣ 변수 초기화
s = 0
- s는 합계를 저장하는 변수이며, 처음에는 0으로 설정됩니다.
3️⃣ 반복문 실행
for num in range(n+1):
s += num
- range(n+1)는 0부터 n까지의 숫자를 생성합니다.
- 반복문을 통해 각 숫자를 s에 더합니다.
4️⃣ 결과 반환
return s
- 계산된 합계를 반환합니다.
5️⃣ 함수 호출 및 결과 출력
print(cs(11))
- cs(11)을 호출하고 그 결과를 출력합니다.
📊 예시: cs(11) 실행 과정
cs(11)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동작합니다.
num 값 s 누적 값
0 | 0 |
1 | 1 |
2 | 3 |
3 | 6 |
4 | 10 |
5 | 15 |
6 | 21 |
7 | 28 |
8 | 36 |
9 | 45 |
10 | 55 |
11 | 66 |
- 따라서 cs(11)의 결과는 66이 됩니다.
🎯 결론
정답은 ③ 66 입니다! ✅
📌 추가 설명: 등차수열의 합 공식 사용
이 코드의 동작 원리는 등차수열의 합 공식을 이용하면 빠르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 공식:
S=n(n+1)2S = \frac{n(n+1)}{2}
- n = 11을 대입하면:
S=11(11+1)2=11×122=1322=66S = \frac{11(11+1)}{2} = \frac{11 \times 12}{2} = \frac{132}{2} = 66
공식을 활용하면 반복문 없이도 빠르게 정답을 구할 수 있습니다.
✨ 최종 요약
- 코드의 역할: 0부터 n까지의 합을 구하는 함수
- 실행 결과: cs(11) = 66
- 정답: ③ 66
- 등차수열 합 공식 활용 가능: S=n(n+1)2S = \frac{n(n+1)}{2}
😊🎯
반응형
'기출문제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5번 (0) | 2025.03.17 |
---|---|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4번 (0) | 2025.03.17 |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2번 (0) | 2025.03.17 |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1번 (0) | 2025.03.17 |
2021년 3회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60번 (0) | 2025.03.17 |